[git]GitHub 환경에서의 실전 Git 레시피
GIT 기본 사용법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저희 팀은 Git으로 소스를 관리하고, GitHub로 코드 리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저희 팀 상황에 맞춰 변형한 Git Flow 전략으로 브랜치 관리를 하고 있죠. 하지만 Git을 사용하며 개발을 하다 보면 종종 뭔가 잘못되거나, 예상과는 다르게 동작할 때가 많습니다. 이 글에선 저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Git 환경을 간략히 설명한 후, 자주 마주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Git 명령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. 레시피 성격인 만큼 심도 있게 설명하거나 Git의 모든 옵션을 언급하진 않겠습니다. 본 글에서 예제로 사용하는 repository 링크는 임의로 지어낸 것입니다.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으니, 참고하셔서 본인의 환경에 맞게 바꾸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 로컬 환경 구축 [그림 1] GitHub의 repository 상호 관계도 [저작자] GitHub [이미지출처] https://github.com/blog/2042-git-2-5-including-multiple-worktrees-and-triangular-workflows [그림 1]은 GitHub 사용자가 repository를 사용하는 시나리오를 간략히 나타낸 관계도입니다. upstream은 메인 repository입니다. origin은 메인 repository를 자기 계정으로 fork한 repository이죠. fork는 GitHub의 fork 버튼을 사용해 간단히 실행할 수 있습니다. 이제 fork된 repository를 로컬로 clone해봅시다. 이하 명령어에 사용한 링크와 같은 repository 링크는 개인 GitHub 페이지에서 복사하여 가져올 수 있습니다. 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junsik-shim/some-project.git so...